안녕하세요. EnerTravel입니다.
오늘은 '세계 원유 수급, 원유 소비, 원유 시황'입니다.
이번 게시글을 읽기 전에 아래 이전 발행글을 먼저 구독하시기를 권해드립니다.
2024.05.22 - [EnergyTok/에너지·정유·화학] - 국제 석유시장 정유사 원유 트레이딩 과정
2024.05.23 - [EnergyTok/에너지·정유·화학] - 국제 에너지기구 오펙, OPEC+ 영향력, 감산, 증산 영향
원유(에너지) 투자를 위한 최근 Global 원유 시황 정리
코로나19가 초래한 석유 수요 급락과 단기 저장 Storage 부재로 발생한 역사적인 마이너스 유가(WTI 선물 20.4.20일 종가 -$37.63/BBL)는 코로나 시기의 저유가와 석유 수요 급감으로 인해 석유회사들은 자본 투자와 운영 지출 등이 축소되었음이 증명된 상징적인 사건이었습니다. 이후 코로나 확산세가 둔화되고, 세계 각국 정부의 경기부양책으로 석유 수요가 증가하였으나, OPEC+는 석유 수요가 회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세계 석유재고를 감소시킨다는 목표로 감산을 연장하였고, 이에 반발한 앙골라 등의 OPEC 탈퇴와 미국의 셰일오일 증산과 러시아 생산량 확대로 ‘swing producer’ 지위를 되찾으며 OPEC의 영향력은 시간이 갈 수록 약화되고, 사우디-미국 간의 관계는 점점 소원해지고 있습니다.
Global 원유 수급 지표(국가별 원유 생산량, 수입량, 소비량)
순위/ 항목 | 원유매장량 (억배럴) |
원유생산량 (천배럴/일) |
원유수출량 (천배럴/일) |
원유 수입량 (천배럴/일) |
원유소비량 (천배럴/일) |
원유정제능력 (천배럴/일) |
1차에너지 총소비량 (백만 TOE) |
1 | 베네수엘라 : 3,032 | 미국 : 13,057 | 사우디 : 7,178 | EU : 10,363 | 미국 : 19,880 | 미국 : 18,567 | 중국 : 3,132 |
2 | 사우디 : 2,662 | 사우디 : 11,951 | 러시아 : 5,567 | 중국 : 8,477 | 중국 : 12,799 | 중국 : 14,513 | 미국 : 2,235 |
3 | 캐나다 : 1,689 | 러시아 : 11,257 | 이라크 : 3,796 | 미국 : 7,914 | 인도 : 4,690 | 러시아 : 6,584 | 인도 : 754 |
4 | 이란 : 1,572 | 이란 : 4,982 | 캐나다 : 3,481 | 인도 : 4,239 | 일본 : 3,988 | 인도 : 4,972 | 러시아 : 698 |
5 | 이라크 : 1,488 | 캐나다 : 4,831 | UAE : 2,524 | 일본 : 3,263 | 사우디 : 3,918 | 일본 : 3,343 | 일본 : 456 |
경제학의 기본 원리인 재화의 공급과 수요에 의하여 가격이 결정되듯이 유가도 기본적으로는 석유의 공급과 수요의 영향이 가장 큽니다. 외우기 쉽게 조금 간략하게 설명드리자면 전 세계 원유 생산/소비량은 하루 100백만 배럴, 공급 측면에서는 하루 1000만 배럴 이상을 생산하고 있는 사우디아라비아, 미국, 러시아의 생산량이 주요한 영향인자이며, 전체 원유 소비량의 20%를 차지하는 1위 소비국 미국에 이어 중국이 그 뒤를 잇고 있으며, 한국은 8번째 원유 소비국입니다.
국가별 일인당 연간 원유소비량
항목/ 국가 | 미국 | 중국 | 인도 | 일본 | 사우디 | 한국 |
일인당 연간소비량(배럴) | 22.3 | 3.4 | 1.3 | 11.5 | 43.4 | 19.8 |
일인당 원유사용량 (천배럴) |
19,880 | 12,799 | 4,690 | 3,988 | 3,918 | 2,796 |
세계 수요 백분율 (%) | 20.2 | 13.0 | 4.7 | 4.0 | 3.9 | 2.8 |
인구수(백만명) | 326 | 1,386 | 1,339 | 127 | 33 | 51 |
국가별 일인당 원유 소비량으로 보자면 현재 중국과 인도의 평균 사용량이 매우 낮지만, 그 소비량이 조금만 증가해도 많은 인구의 영향으로 총 소비량은 급격히 증가할 수 있기에 만약 중국과 인도의 일인당 연평균 원유 사용량이 우리나라와 비슷해진다면, 현재 전세계전 세계 원유생산량은 이 두 나라 수요의 66%만 충족하게 되는 것입니다.
원유 및 석유제품 거래 흐름
모두가 예상하는 대로 원유는 중동과 러시아에서 대표적으로 많이 수출되고 유럽, 중국, 미국, 인도 등으로 수입됩니다. 원유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미국의 경우, 원유와 석유제품의 수출입이 인근 국가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하나 주목할 것은 미국이 중동지역에서 수입하는 석유류의 총량이 전체의 16% 정도라는 것이다. 이는 자국의 원유 생산량 증가와 더불어 중동의 정치적 위기에 큰 영향 없이 안정적인 수급이 가능하다는 것으로 달라진 Global 석유 패권을 나타내는 Data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중국 또한 중동의존도가 있지만 다른 곳에서도 비교적 고르게 수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중동지역 의존도가 82%로 중동발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한 수급위험이 아주 높습니다. 석유자원의 원활한 수급을 위해서는 비용으로 대표되는 경제적 요인뿐만 아니라 정치적 및 지정학적 위험요소를 고려하여 수입선을 다변화해야 하지만 지난 10년간 큰 변화가 없었으며, 오히려 1990년대 75% 수준에서 현재 중동의존도가 더 심화된 모습입니다.
이상 '세계 원유 수급, 원유 소비, 원유 거래 시황' 였습니다.
다음은 '국제 석유시장 주요 이슈와 석유산업 변화 전망' 정리입니다.
'EnergyTok > 에너지·정유·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석유제품 수급 현황, 정유사 생산설비, 내수 소비 규모 (1) | 2024.06.02 |
---|---|
글로벌 정유사, 세계 정유산업, 원유 정제사업 (0) | 2024.05.28 |
대한송유관공사 사업 송유관 설치 및 자재 운영 (0) | 2024.05.20 |
유조선 탱커 선박 종류, 선박 제원, 톤수 개념 (0) | 2024.05.18 |
원유의 국제 수송, 우리나라 석유 해상 운송 경로 (0) | 2024.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