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ergyTok/에너지·정유·화학

유조선 탱커 선박 종류, 선박 제원, 톤수 개념

EnerTravel 2024. 5. 18. 14:03
728x90


안녕하세요. EnerTravel입니다. 

 

지난시간에는 '원유의 수송, 우리나라 석유 해상수송로' 개념을 다루었는데요.

2024.05.17 - [EnergyTok/에너지·정유·화학] - 원유의 국제 수송, 우리나라 석유 해상 운송 경로

 

원유의 국제 수송, 우리나라 석유 해상 운송 경로

안녕하세요. EnerTravel입니다.  지난시간에는 국가별 석유매장량, 가채연수 개념을 다루었는데요.원유 매장과 석유생산이 주로 중동, 아프리카, 구소련연방, 남미 등지에 한정 되어 있는 반면,

enertravel.tistory.com

 

한국은 지리적인 조건에 따라, 송유관을 통한 원유 도입은 불가하여, 원유 수입 전량을 해상수송에 의존하고 있는데요. 그런 의미에서 오늘 EnergyTok 주제로는 '원유의 수송, 우리나라 석유 해상수송로'를 다뤄보려합니다.

 

 유조선 탱커 선박 종류, 선박 제원, 톤수 개념 

 

탱커 유조선(Tanker)은 적재 가능한 중량(DWT)에 따라 아프라막스(AFRAMAX), 수에즈막스(SUEZMAX), VLCC(초대형 유조선) 등으로 구분되는데요. AFRA(Average Freight Rate Assessment) MAX는 운임•선가 등을 고려했을 때 최대의 이윤을 창출할 수 있는 가장 경제적인 사이즈란 뜻으로 8~11만 톤급 유조선을 지칭합니다. SUEZMAX는 원유를 가득 싣고 수에즈운하를 통과할 수 있는 최대 선형으로 13~15만 톤급의 선박을 말힙니다. VLCC(Very Large Crude Oil Carrier)는 30만 톤 규모의 원유를 운반할 수 있는 초대형 유조선을 말한다. 원유의 수송은 장거리일수록 한꺼번에 많은 양을 실어 나르는 것이 경제적이다. 1980년대 말 국제적으로 저유가 시대가 도래하면서 세계적으로 석유소비가 증가추세를 보이자, 유조선의 대형화가 가속화되어 기존 VLCC급 30만 톤이 넘어 40만톤에 육박하는 극초대형유조선 ULCC(Ultra Large Crude Oil Carrier)이 출현하기까지 하였습니다. ULCC는 선체길이가 380m로서 63빌딩을 눕혀 놓은 것보다 1.5배가 더 길다고 생각하시면 그 규모를 짐작하실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우리나라에서 하루에 소비되는 원유의 양이 약 42만 톤 정도이므로  ULCC 한 척이 우리나라 국민이 하루 사용할 수 있는 양의 기름을 운송하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편하실 것 같습니다.

 

원유 유조선의 종류

유조선(Tanker) 분류 수송능력(물량)
Ultra Large Crude Carrier(ULCC) 35만 DWT(300만 배럴) 이상
Very Large Crude Carrier(VLCC) 20~30만 DWT(200만 배럴) 이상
Suezmax 12~20만 DWT(100만 배럴) 이상
Aframax 8~12만 DWT
Panamax 7만 DWT

 

석유제품 유조선의 종류

유조선(Tanker) 분류 수송능력(물량)
Long Range2(LR2) 9~15만 DWT(*)
Long Range1(LR1) 5~9만 DWT
Medium Range(MR) 3~4.5만 DWT
Handie(Handy) 1~2만 DWT
Small Range2(SR) 0.5만 DWT

*DWT(Dead Weight Tonnage) : 선박이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총량

728x90

 

 유조선(Tanker) 선박 제원 체크 포인트 

유조선 뿐만 아니라, 컨테이선 역시도 선적과 하역을 위해서는 선박의 제원 및 부두의 상황을 확인하는 Vessel Clearance(Vetting) 작업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합니다.  선박 Vetting 실무 체크 포인트를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알아야할 탱커선박 제원 주요 개념들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봅시다.

 

LOA(Length overall), 전장

- 선체 고정적으로 붙어 있는 모든 돌출물을 포함한 선수 최전단으로 부터 선미후단까지의 수평거리

- 부두안벽 계류 또는 입거 등을 위하여 선박 조종 시의 고려 기준

- 해상충돌예방 규칙에서 선박 길이의 기준

 

 PBL (Parallel Body Length)

- 건현(Freeboard) : 만재 흘수선으로 부터 선체중앙부의 현측에서의 상갑판 상면까지의 연직 거리 

- 계획 만재 흘수(Design Draft) : 재화중량, 선속, FOC 등 성능을 계획하는 흘수

- 최대 만재 흘수(Scantling Draft) 선체구조 및 안전상 화물적재가 허용되는 흘수

 

용적 톤수

- 총톤수(gross Tonnage) : 폐위된 선박 전체의 용적에서 상갑판상의 특정 장소를 뺀 용적을 톤수로 환산한 개념으로 (100 CuFt=2.832㎥ = 1 Ton), 각국의 선박 통계, 입거료, 등록세, 소득세, 선박 검사료, 도선료 등의 기준

- 순톤수(Net Tonnage) : 선박의 총톤수에서 화물과 관계없는 승무원실, 기관실, 해도실 등 선박의 운항에 필요한 장소의 용적을 뺀 톤수, 선박에 부과하는 톤세, 항세, 부표사용료, 예선료, 운하통과료 등의 기준

 

중량 톤수

- 만재배수톤수(Full Load Displacement Tonnage) : 선박이 최대로 적재하고 안전하게 운항 할 수 있는 만재흘수에서 수면 아래에 잠기는 부분의 용적에 상당하는 물의 중량, 선박이 밀어낸 물의 양(배수량)으로 선박의 무게 계산. 상선에서는 사용치 않으며 군함의 크기를 나타내는 용도로 주로 사용

- 경하중량톤수(Light Ship Weight) : 선박의 자체중량에 주 기관, 각종 장비 및 비품의 무게를 합한 톤수. 선박이 화물을 적재하지 않았을 때의 배수량과 같음

- 재화중량톤수(Deadweight Tonnage) : 선박이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중량 = 만재배수 톤수. 화물선 용선시장에서 많이 이용되며, 유조선의 크기도 대부분 이 톤수를 사용

 

 

오늘은 '유조선 선박 종류, 선박 제원, 톤수 개념' 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은 '국내 석유제품 운송체계, 석유 수송 운영 수단'을 정리하겠습니다.

2024.05.18 - [EnergyTok/에너지·정유·화학] - 국내 석유제품 운송 체계, 석유 수송 운영 수단 비교

 

국내 석유제품 운송 체계, 석유 수송 운영 수단 비교

안녕하세요. EnerTravel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우리나라의 석유 해상 수송 경로에 대하여 정리해보았는데요.오늘의 EnergyTok 주제는 '국내 석유제품 운송 체계'입니다. 2024.05.17 - [EnergyTok/에너

enertravel.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