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nergyTok 158

대한송유관공사 사업 송유관 설치 및 자재 운영

안녕하세요. EnerTravel입니다.  지난시간에는 '국내 석유제품 운송체계'를 정리해보았는데요.오늘의 EnergyTok 주제는 '대한송유관공사 사업 송유관 설치 및 자재 운영'입니다. 석유제품 물류운영은 석유제품을 생산하는 곳에서부터 소비자가 사용하는 곳까지의 안정적으로 제품 유통 과정을 관리하는 일련의 과정입니다. 그러나 항만, 도로, 철도 등 사회간접시설의 과밀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유조차와 선박 등의 수송수단은 사고에 따른 환경오염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안정적이고 비용 효율성이 높은 석유 운송수단으로서 송유관 수송이 시스템방식 운영으로 전천후 대량 수송이 가능하며, 수송비가 저렴하고 안정적으로 수송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그 역할이 점차 주목받고 있습니다. 다만 송유..

유조선 탱커 선박 종류, 선박 제원, 톤수 개념

안녕하세요. EnerTravel입니다.  지난시간에는 '원유의 수송, 우리나라 석유 해상수송로' 개념을 다루었는데요.2024.05.17 - [EnergyTok/에너지·정유·화학] - 원유의 국제 수송, 우리나라 석유 해상 운송 경로 원유의 국제 수송, 우리나라 석유 해상 운송 경로안녕하세요. EnerTravel입니다.  지난시간에는 국가별 석유매장량, 가채연수 개념을 다루었는데요.원유 매장과 석유생산이 주로 중동, 아프리카, 구소련연방, 남미 등지에 한정 되어 있는 반면,enertravel.tistory.com 한국은 지리적인 조건에 따라, 송유관을 통한 원유 도입은 불가하여, 원유 수입 전량을 해상수송에 의존하고 있는데요. 그런 의미에서 오늘 EnergyTok 주제로는 '원유의 수송, 우리나라 석유 해..

원유의 국제 수송, 우리나라 석유 해상 운송 경로

안녕하세요. EnerTravel입니다.  지난시간에는 국가별 석유매장량, 가채연수 개념을 다루었는데요.원유 매장과 석유생산이 주로 중동, 아프리카, 구소련연방, 남미 등지에 한정 되어 있는 반면, 석유소비는 미국, 서유럽, 동북아시아, 동남아 개발도상국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원유 채굴 지역에서 소비지로의 수송이 꼭 필요합니다. 2024.05.15 - [EnergyTok/에너지·정유·화학] - 국가별 석유 매장량, 가채연수 개념 국가별 석유 매장량, 가채연수 개념안녕하세요. EnerTravel입니다.  오늘 EnergyTok은 '국가별 석유 매장량, 가채연수 개념'입니다.앞서 정리한 석유사업 상류부문 관련 글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2024.05.15 - [EnergyTok/에너지·정유en..

국가별 석유 매장량, 가채연수 개념

안녕하세요. EnerTravel입니다.  오늘 EnergyTok은 '국가별 석유 매장량, 가채연수 개념'입니다.앞서 정리한 석유사업 상류부문 관련 글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2024.05.15 - [EnergyTok/에너지·정유·화학] - 석유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석유 생성과정, 유전 형성 조건 석유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석유 생성과정, 유전 형성 조건안녕하세요. EnerTravel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석유의 정의와 특성, 분류를 알아보았는데요.2024.05.15 - [EnergyTok/에너지·정유·화학] - 석유의 정의와 특성, 분류 석유의 정의와 특성, 분류안녕하세enertravel.tistory.com2023.04.15 - [EnergyTok/에너지·정유·화학] - 원유 생산, E&P..

원유 생산, E&P 사업, 석유 산업 Upstream

안녕하세요. EnerTravel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석유 생성과정, 유전 형성 조건'을 정리해보았는데요.2024.05.15 - [EnergyTok/에너지·정유·화학] - 석유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석유 생성과정, 유전 형성 조건 석유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석유 생성과정, 유전 형성 조건안녕하세요. EnerTravel입니다.  석유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요?오늘의 EnergyTok은 '석유 생성과정과 유전 형성 조건'입니다.  석유의 기원, 석유 생성 과정 석유는 지구상에서 플랑크톤이 등장하enertravel.tistory.com 오늘의 EnergyTok 주제는 흔히 석유 산업의 Upstream이라고 부르는 원유 생산, E&P(Exploration & Production), 석유 탐사 사업에 대해 ..

석유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석유 생성과정, 유전 형성 조건

안녕하세요. EnerTravel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석유의 정의와 특성, 분류를 알아보았는데요.2024.05.15 - [EnergyTok/에너지·정유·화학] - 석유의 정의와 특성, 분류 석유의 정의와 특성, 분류안녕하세요. EnerTravel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에너지원 소비 분류, 1차에너지, 최종에너지 개념'을 알아보았습니다.오늘은 '석유의 정의와 특성, 분류'을 정리해보겠습니다. 2024.05.15 - [EnergyTok/enertravel.tistory.com 석유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요?오늘의 EnergyTok은 '석유 생성과정과 유전 형성 조건'입니다.  석유의 기원, 석유 생성 과정 석유는 지구상에서 플랑크톤이 등장하기 시작한 수억 년 전의 지질시대에서 만들어지기 시작했다고 학계에..

석유의 정의와 특성, 분류

안녕하세요. EnerTravel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에너지원 소비 분류, 1차에너지, 최종에너지 개념'을 알아보았습니다.오늘은 '석유의 정의와 특성, 분류'을 정리해보겠습니다. 2024.05.15 - [EnergyTok/에너지·정유·화학] - 에너지원 소비 분류, 1차에너지, 최종에너지 개념 에너지원 소비 분류, 1차에너지, 최종에너지 개념안녕하세요. EnerTravel입니다. 오늘은 '에너지원 소비 1차에너지, 최종에너지 개념'을 정리하려합니다.  '에너지원(Energy Source)' 이란? 에너지(Energy)는 그리스어의 “일”을 뜻하는 에르곤(ergon)에enertravel.tistory.com  석유의 정의  석유(Petroleum)라는 명칭은 그리스어인 Petra(바위 또는 돌)와 라틴..

에너지원 소비 분류, 1차에너지, 최종에너지 개념

안녕하세요. EnerTravel입니다. 오늘은 '에너지원 소비 1차에너지, 최종에너지 개념'을 정리하려합니다.  '에너지원(Energy Source)' 이란? 에너지(Energy)는 그리스어의 “일”을 뜻하는 에르곤(ergon)에 “속에”라는 접두사 엔(en)이 붙은 말로써, 속에 감춰진 일, 즉 “물체가 지니고 있는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는데요. 사람들은 걷거나 뛰는 행동은 물론 자동차를 운전하고, 우주선을 발사하는데 이르기까지 모든 것에 에너지를 사용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에너지는 서로 다른 형태의 에너지로 전환되거나, 일로 바뀔 수 있습니다. 에너지의 종류로는 화학반응에 의해 다른 에너지로 변형되는 화학에너지, 높은 곳에 있는 물체가 가지고 있는 위치에너지, 운동하는 물체가 가지고 있는 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