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ergyTok/에너지·정유·화학

정유산업 이란? (원유 정제처리능력, 석유제품 수출)

EnerTravel 2024. 5. 9. 22:27
728x90

 

안녕하세요. EnerTravel입니다.

 

오늘은 '우리나라의 정유산업' 과 '원유 정제설비 처리능력'에 대해 간략한 설명을 해보고자 합니다. 정유산업은 원유를 수입하여 정제하는 과정에서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LPG, 휘발유, 항공유, 실내등유, 경유, 벙커c유, 해상유 등과 같은 다양한 석유에너지 제품과 부산물, 화학제품을 생산 및 판매를 영위하는 산업입니다. 국내에서는 SK이노베이션, GS칼텍스, S-Oil, 현대오일뱅크 등이 대표적인 정유회사입니다.


한국 정유산업의 발전은 1960년대부터 시작되었고 1973년 유가 쇼크 이후 원유 수입이 불안정해지면서 국내 정유산업은 외국자본을 유치하여 급격한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이후 아시아 에너지 시장에서 한국산 정유제품 수출을 통해 최고 수준의 국제경쟁력을 확보하였습니다.

 

현재 국내 정유산업은 세계적인 경쟁 상황에 놓여 있습니다.  최근 국제유가의 하락으로 인해 수익성이 저하되었고, 에너지 전환에 따른 새로운 시장 환경 변화에 대응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이와 같이 정유산업은 에너지 산업 중에서도 대기오염과 탄소배출 등의 환경문제라는 피할 수 없는 Risk 요인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정부와 정유사들은 탄소배출 Net-Zero 달성을 위해 탄소포집, 탄소중립 원유 도입 및 친환경제품 생산 등 환경문제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고, 신재생에너지와 같은 미래에너지 사업으로의 전환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728x90

 

 한국 정유 4社 원유 정제처리능력 (단위: B/D, Barrel per day) 

원유 정제처리능력이란 정유사가 최종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제품의 원료인 원유를 CDU(상압증류공정, Crude Distillation Unit)에 투입할 수 있는 원유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유사의 생산설비 규모를 평가할 때 사용하는 개념으로 고도화 공정 설비는 제외한 상압증류설비(Crude Distillation Unit)의 Capacity를 이야기할 때 사용합니다. 정유사 설비의 처리능력은 연산품이라는 석유제품의 특성상 Barrel per Day (Calendar, Stream Day) 개념으로 업계에서는 소통하며 약자로 줄여서 B/D로 표기합니다.

우리나라의 정유사는 동해가스전의 채굴이 완료된 이후, 다시 원유를 전량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고 이를 정제하여 정유제품을 생산하는 회사는 크게 4개 사가 있으며, 각 사의 원유 정제처리능력은 아래와 같습니다. (CDU 공정 기준)

 

  1. SK에너지(울산, 舊 유공): 840,000 B/D
  2. SK인천석유화학(인천,  舊 경인에너지): 275,000 B/D
  3. GS칼텍스(여수,  舊 호남정유): 800,000 B/D
  4. S-OIL(온산,  舊 쌍용정유): 669,000 B/D
  5. HD현대(대산,  舊 현대정유): 690,000 B/D

각 정유사들은 위와 같은 규모의  원유 정제처리설비를 통하여, 일반 소비자 및 기업이 사용하는 LPG, 휘발유, 실내등유, 경유, 중질유, 아스팔트와 같은 정유제품을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정유 제품 수출 → 달러벌이 효자 품목 

에너지 수입 비중 92%에 달할 정도로 대외 의존도가 심각한 우리나라 무역 수지를 악화시키는 대표적인 원인 중 하나가 원유 수입이지만,  그 이면에는 놀라운 반전이 숨어 있습니다. 원유는 더 많이 수입하는 것이 우리나라 무역 수지를 개선할 수 있는 정유산업 구조 때문인데요. 달러벌이 효자 품목인 정유제품 수출 실적에 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산업부에 따르면 2022년 우리나라 석유제품 수출액은 630억 달러로 원료 수입액의 59.5%를 정제하여 수출함으로써 1,292만 달러를 수출한 반도체 산업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수출 실적을 올렸습니다. 이는 국가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보다도 89억 달러어치를 더 많은 수치입니다. 이 숫자를 간단하게 표현하자면 국가 수출액 100원 중 9원 정도가 석유제품이었던 셈입니다.

 

 

지난해 석유 수출액이 크게 늘어난 배경에는 ESG Trend에 따른 정제설비 투자 감소 및 러-우 전쟁 여파에 따른 국제 에너지 가격 및 Premium 상승, 국내 정유사 고도화설비 효과를 꼽을 수 있겠습니다. 글로벌 정제설비 가동률은 수요와 공급의 균형점이자 세계 각지에 있는 노후 정제설비 폐쇄가 논의되는 80%를 기준으로 평가하는 경우가 많으며, 러-우 전쟁 초반에는 85%까지 가동률이 올라가며 글로벌 정유업계 호황기를 맞이하기도 했습니다. 

(단위 : $/ BBL)

구분 1Q 2Q 3Q 4Q 1-12월 평균
'22 원유도입단가 (A) 90.8 113.6 110.5 95.9 102.6
제품수출단가 (B) 110.3 142.3 122.9 108.9 121.1
수출채산성 (B-A) 19.4 28.6 12.4 13.0 18.5
'21 원유도입단가 (A) 58.9 67.9 74.0 80.4 70.6
제품수출단가 (B) 67.8 76.0 80.7 90.3 79.3
수출채산성 (B-A) 8.9 8.1 6.8 9.9 8.7
수출채산성 증감 10.5 20.5 5.6 3.1 9.7

*자료 : 한국석유공사 (원유도입단가 CIF 기준)

 

수출 채산성으로 봐도 정유사는 2022년 최고의 한 해를 보냈습니다. 2022년 기준 정유사들은 원유 1배럴을 수입해 석유제품으로 정제, 수출하면서 18.5 달러의 마진을 확보했습니다. 2021년 차액이 8.7 달러였던 것을 감안하면 두 배 이상 개선된 수치입니다. 내수보다 더 많은 원유를 도입하면 수입액이 늘어 무역 수지를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지만 부가가치를 높인 석유제품으로 다시 수출하면 궁극에는 무역 수지 개선으로 연결되니 자원 빈국인 우리나라 입장에서 ‘가공무역(加工貿易)’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가 바로 ‘정유 산업’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국가별 원유 정제설비 능력 

(단위 : 천 배럴 / day)

국가 미국 중국 러시아 인도 한국 일본 세계 전체
정제설비능력 18,143 16,691 6,736 5,018 3,572 3,285 101,947

우리나라의 원유 정제 설비 능력(원유 정제처리능력)은 하루 357만 2,000배럴로 미국, 중국, 러시아, 인도에 이어 세계 다섯 번째 정제설비 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우리보다 경제 규모가 큰 일본보다도 많은 수준입니다.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팬데믹에서 회복되던 2021년 우리나라 하루 석유제품 소비 규모는 256만 배럴을 기록했으니, 산술적으로 우리나라 정유사들은 내수 소비 보다 약 39.5%에 달하는 초과 정제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 정유사는 값싼 중질유에서 휘발유, 등·경유 같은 고부가가치 석유제품을 더 많이 생산하는 고도화설비 비중이 높아 유럽 국가들처럼 수급 불안에 시달릴 가능성을 줄이고 석유 정제 및 수출 과정에서의 부가가치를 높이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상 '우리나라의 정유산업' 과 '원유 정제설비 처리능력' 개념을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글로벌 벤치마크 원유의 종류' 을 정리해보겠습니다.

2023.01.08 - [EnergyTok/정유·화학] - Benchmark 원유 종류, 원유 성분 분석

 

Benchmark 원유 종류, 원유 성분 분석

안녕하세요. EnerTravel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원유정제처리능력, 석유제품 수출'에 대하여 정리해보았는데요.2023.01.08 - [EnergyTok/정유·화학] - 정유산업 이란? (원유 정제처리능력, 석유제품 수

enertravel.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