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nergyTok/에너지·정유·화학 153

석유화학 스터디 - 투명한 폴리에스터 합성섬유 PET 수지

안녕하세요. EnerTravel입니다. 오늘의 EnergyTok 주제는 '투명한 폴리에스터 합성섬유 - PET 수지'입니다. Poly(ethylene terephthalate(PET) - 페트병의 원료로서 흔히 PET라고 부르는 수지 - 차량 부동액으로 흔히 쓰이는 에틸렌글리콜(EG)과 테레프탈산(TPA)을 중합하여 생산 - 플라스틱으로 쓰이면 페트병용 PET 수지, 필름 형태이면 폴리에스터 필름으로 호칭 - PET는 구조상 육각형의 벤젠기, COO기 등 다양한 작용기들이 포함한 복잡한 형태 - PET는 구조식이 단순한 폴리에틸렌(PE) 대비 결정화도가 낮아, 투명하고 가벼움 ※단, PET도 온도가 높아지면 결정화가 높아져 페트병이 뿌옇게 변함 가장 친숙한 폴리에스터(Polyester) 고분자 PET 폴..

식품용기 플라스틱 - PS(Polystyrene)

안녕하세요. EnerTravel입니다. 오늘의 EnergyTok 주제는 '식품용기용 플라스틱 - PS(Polystyrene)'입니다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PS) 개요 - 플라스틱 종류 중 즉석식품 등의 용기로 가장 널리 쓰이는 가벼운 소재(가공성 매우 우수) - 열을 가하면 부드러워져 쉽게 변형되고 식으면 다시 굳어지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 투명성도 뛰어나, 다양한 착색으로 성형하기 쉬움 - 여러 개의 스타이렌 단량체가 결합해 만들어진 소재로 사슬모양의 플라스틱 화합물 - 중합반응으로 반복되는 사슬구조 형태의 고분자 EPS(Expandable Polystyrene, 스티로폼) - PS수지에 공기층을 넣어 만든 소재로 흔히 스티로폼이라 부름 - 공기층과 함께 부풀어 오른 EPS는 PS와 달리..

전자레인지 사용 가능 식품용기 플라스틱 - PP(폴리프로필렌) 종류

안녕하세요. EnerTravel입니다. 오늘의 EnergyTok 주제는 "식품용기용 플라스틱 - PE(폴리에틸렌)"입니다.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 ‘폴리프로필렌(PP)’은 높은 온도에서도 잘 견디고 환경호르몬이 검출되지 않아 전자레인지 식품용기로 최적 - 유동성이 좋으며 가벼운 물성(비중 0.82~0.92)으로 각종 포장재 필름이나 가전부품, 자동차 내장재 등에도 사용 - 접두사 'poly' 이름처럼 프로필렌을 길게 연결해서 만든, 즉 촉매를 통해 프로필렌을 중합하여 만든 소재 - 대부분의 PP는 Isotactic Polypropylene로 분자량이 크고 녹는점이 약 170도 내외이며 충격에 약함 - 다른 재료와 섞어 성능을 향상하거나 활용도를 높인 여러 복합 PP 수지도 생산..

태양광 봉지재 핵심 친환경 소재 - EVA

안녕하세요. EnerTravel입니다. 접착식 벽걸이(불로 녹여 붙이는 종류의 벽걸이)를 살펴보면, 뒷면에 붙은 하얀 젤에 불을 가해 녹아서 말랑말랑해진 젤로 벽에 붙이면 젤이 딱딱하게 굳으면서 벽에 고정되는 데요. 바로 이 젤의 주요 성분이 오늘의 EnergyTok 주제이자 '태양광 봉지재 핵심 친환경 소재'인 에틸렌초산비닐(Ethylene Vinyl Acetate, EVA)입니다. EVA(Ethylene-Vinyl Acetate) 개요 1) 에틸렌 단량체와 VA(Vinyl Acetate) 단량체의 공중합체로 두 단량체가 함께 중합되어 생산되는 소재 - 500기압 이상의 초고압 공정 과정에서 자유 라디칼 중합(*) 반응으로 생산 2) 튜브처럼 생긴 반응기를 사용하는 관형 반응기 중합공정과 커다란 용기 ..

전자레인지 사용 가능한 식품용기 플라스틱 - PE(폴리에틸렌) 종류

안녕하세요. EnerTravel입니다. 오늘의 EnergyTok 주제는 "식품용기용 플라스틱 - PE(폴리에틸렌)"입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는 전자레인지에 사용가능하다고 규정하고 있는 플라스틱 용기는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과 인데요, 내열성이 높아 열을 가해도 형태가 변형되거나 유해물질이 나오지 않기에 열을 가해도 안전한 열가소성 플라스틱, ‘PE’에 대하여 먼저 알아봅시다.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에틸렌(PE·Polyethylene)의 폴리(Poly-)는 ‘많은’, ‘여러 가지’의 뜻을 가진 접두사로 이름처럼 폴리에틸렌(PE)은 탄소 2개와 수소 4개로 이루어진 유기화합물인 에틸렌이 수천에서 수십만 개 모여 만들어진 기다란 탄화수소 사슬의 중합체로, 가장..

석유화학 기업분석 스터디- 한화토탈

안녕하세요. EnerTravel입니다. 오늘의 EnergyTok 주제는 "석유화학 기업분석 스터디- 한화토탈에너지스" 입니다. 한화토탈에너지스는 본래 삼성그룹과 글로벌 프랑스 화학 메이저 토탈에너지스가 50대 50의 지분율로 합작 설립한 석유화학 기업이나, 삼성그룹이 2015년 그 지분을 한화그룹에 매각하며 오늘날의 한화토탈에너지스로 관계사들과 시너지를 극대화 하고 있습니다. Hanwha TotalEnergies Petrochemical Co., Ltd - HQ / Plant : 103, Dokgot 2-ro, Daesan-eup. Seosan-si, Chungcheongnam-do, Korea : Tel : 82-41-660-6114/ Fax : 82-41-681-4812 - Seoul Office :..

석유화학 기업분석 스터디- 현대케미칼

안녕하세요. EnerTravel입니다. 오늘의 EnergyTok 주제는 "석유화학 기업분석 스터디- 현대케미칼" 입니다. 현대케미칼은 주주사인 현대오일뱅크와 롯데케미칼의 전략적 합작을 통해 1.2조를 투자하여 현대오일뱅크 대산공장 부지에 2014년 설립되었습니다. 현대케미칼은 콘덴세이트를 원료로서 CSU(Condensate Splitter Unit)에 투입하여 LPG, 납사, 등유, 항공유, 경유 등의 석유제품과 MX, 벤젠과 더불어 HPC Project 완공 이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현대케미칼의 주요 제품 대부분은 계약에따라 주주사인 현대오일뱅크와 롯데케미칼로 공급되어 안정적인 판로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주주사의 생산공정 부산물을 최대한 활용하기에 납..

석유화학 기업분석 스터디- S-OIL(에쓰오일)

안녕하세요. EnerTravel입니다. 오늘의 EnergyTok 주제는 "석유화학 기업분석 스터디- S-OIL(에쓰오일)"입니다. 에쓰오일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정유기업이자 석유화학 기업입니다. 1976년에 설립되어 현재는 대한민국에서는 3번째로 큰 66.9만 배럴의 원유정제처리능력의 정유공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석유제품 수요는 감소하고, 석유화학 제품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에쓰오일은 과감한 투자로 2단계에 걸친 석유화학 투자 프로젝트를 통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고 손익 구조를 안정화하고자 하는 목표를 꿈꾸고 있습니다. S-Oil Corporation - HQ : 192, Baekbeom-ro, Mapo-gu, Seoul, Korea : Tel : 82-2-377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