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Tok/독서, 서평

중국 문학의 서로 다른 두 장르: 변려문, 고문

EnerTravel 2023. 12. 2. 22:25
728x90

 

안녕하세요. EnerTravel입니다. 

오늘은 중국 문학의 서로 다른 두 장르: 변려문/고문에 대하여 논술해보고자합니다. 

 

 문학에서는 내용과 형식에 관한 다양한 논의가 있어왔다. 본 글은 내용과 형식이 불가분의 개념인지 논증하고, 불가분의 관계라면 문학을 평가하는 기준을 정립한다. 이러한 기준으로 고문과 변려문을 평가한 후 중국 고대산문의 묘미를 논술하고자 한다. 문학에서 내용은 작가의 생각•사상을 의미하고, 형식은 작가의 생각을 표현하는 문자•수사법 등을 의미한다. 만약 내용과 형식을 나눌 수 있다고 가정하면 양자는 상호의존적이지 않고 배타적인 관계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작가의 생각인 글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문자의 형식을 필요로 한다. 반대로 형식은 내용의 매개체이기 때문에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다. 이는 위에서 제시한 전제와는 달리 내용과 형식은 상호의존적 관계이며 배타적인 관계가 아님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글은 내용과 형식을 불가분의 관계로 본다. 


 글의 성취도를 평가할 때 내용과 형식은 각각 독립적인 기준으로 제시되지 않는다. 종종 내용과 형식의 상반된 평가가 존재하는데, 이는 내용과 형식의 불가분 관계에 대한 이해의 부족에서 기인한 것이다. 문학의 평가 기준은 내용과 형식이 결부되어 제시된다. 좋은 작품을 내용과 형식이 모두 아름다운 문학이라고 이야기하는 것과 좋지 않은 작품을 내용과 형식이 모두 결여된 작품으로 이야기하는 것은 자명하다. 그러나 내용은 훌륭하면서 형식은 부실할 때, 내용은 부실하면서 형식은 훌륭할 때에는 무엇이 더 좋은 문학인지에 대해 명확하게 평가할 수 없다. 결국 문학을 평가하는 차원에서 내용과 형식을 분리하여 상반된 평가를 내리는 것은 불가하다.

 

728x90

 
 이처럼 문학은 내용과 형식으로 나누어 평가할 순 없으나 문학적 미 차원에서의 평가는 가능하다. 문학의 아름다움(미)는 글을 통해  독자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 즉 感動이다. '문학적 아름다움'이란 예술의 한 장르로서 문학이 지니는 외적, 내적 가치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문학적 아름다움’은 크게 ‘형식미’와 ‘내용미’로 나누어 살펴 볼 수 있다. 이 두 가지 기준을 통해 <春夜宴桃李園序>와 <醉翁亭記>의 ‘문학적 아름다움’을 비교해보고자 한다.

먼저 변려문에 해당하는 <春夜宴桃李園序>에서는 형식미가 부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幽賞未已 高談轉淸 開瓊筵以坐花 飛羽觴而醉月”의 구절을 보면 4자, 6자의 글자 수 구식과 대우의 형식미가 잘 나타난다. <春夜宴桃李園序>는 형식미뿐만 아니라 내용상 함축미와 낭만성 또한 겸비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는 자연경관의 아름다움을 이야기하고 있는 “況陽春召我以煙景 大塊假我以文章”의 구절에서 마치 자연과 하나가 된 듯 한 느낌을 주고, 자연을 인격화해서 표현하고 있는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고문에 해당하는 <醉翁亭記>는 시각적으로 보기에는 전체적인 형식미가 확연히 드러나지는 않는다. “山行六七里 漸聞水聲潺潺 而瀉出於 兩峰之間者”와 같은 문구에서 대우와 글자 수 구식을 드러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이는 완전히 규칙적이지 않고 한 두 글자씩 어긋남이 존재하여 <春夜宴桃李園序>에 비해 형식미의 완전성은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또한, “日出而林霏开,云归而岩穴瞑”,“野芳发而又向,佳木秀而繁阴” 내용을 보면 자연의 정경을 묘사할 때 사실적이고 구체적으로 묘사함에 따라 실제감이 넘치기는 하나, 동시에 함축미와 낭만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함에 따라 개인의 상상력을 제한하고 현실성을 부각시켜 낭만성이 줄어들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중국 고대 산문은 중국 변려문과 고문을 아우르는 큰 개념이다. 주목할 점은 형식적 아름다움을 중시했던 변려문도, 이에 반해 내용에 충실하고자 했던 고문도 결과적인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늘 글의 형식과 내용의 아름다움을 함께 담으려 고민 해왔다는 것이다.


문학적 아름다움이 형식미와 내용적 아름다움을 포함한다고 언급했듯이 중국 고대 산문의 미학 또한 형식과 내용에 담겨져 있다. 유미주의적인 형식미, 그 안에서 파생되는 음악성과 회화미, 그리고 그 위에서 내용의 훌륭함이 더해졌을 때 비로소 고대 산문의 아름다움이 완전히 발휘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중국 고대 산문의 미학은 글의 형식과 내용 한쪽에 치우침없이 아름답게 조화되어가는 과정과 그 추구에서 찾을 수 있다.


글에서 형식과 내용을 구분할 때, 형식은 훌륭하나 내용이 부실하고, 내용이 훌륭하나 형식이 부실한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먼저 형식은 훌륭하나 내용이 부실한 글은 지나치게 형식미를 중시할 때 발생한다. 남북조시기 성행한 변려문의 경우 대우나 평측 규율의 준수 등 형식상 특징을 중시했다. 그러나 각종 규범과 화려한 수식 때문에 표현하고자 했던 내용에 제약이 생기거나 그 내용을 완전히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곤 했다. 내용이 훌륭하나 형식이 부실한 경우 역시 존재한다. 내용을 자세히 표현하는 고문의 경우 내용의 전달에는 충실하나 설명과 서술에 전념한 나머지 형식에 소홀하여 형식이 가지는 아름다움을 놓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변려문과 고문은 중국 문학의 서로 다른 두 장르로써 각각의 문체별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변려문의 경우 형식적 아름다움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문체이다. 엄격한 대우의 규칙과 글자 수 규칙, 그리고 평측의 사용으로 시각적, 청각적 아름다움을 충분히 담아낸다. 한편 고문의 경우 내용의 자세한 서술을 더욱 중시하는 문체이다. 모호함을 없애고 명확성과 구체성을 특징으로 내용을 서술하며 종종 교훈적인 내용도 함께 전달한다.

문학을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하나의 예술이라고 볼 때, 작가가 느낀 그 아름다움을 글자라는 형식을 통해 얼마나 잘 전달하는가에 따라 그 평가도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입장에서 본다면 변려문은 아름다움 추구라는 문학의 본질에 충실한 대표적 문체이다. 변려문은 형태적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내용상 함축미와 낭만성까지 갖추었다.

 

변려문인 춘야연도리원서(이하 <춘>), 고문인 취옹정기(이하<취>)를 예로들어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이 설명해보겠다.


 문학의 미의 첫 번째 지표는 구도다. 구도는 작가의 생각과 이를 전달하는 방식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독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도의 측면에서 볼 때 <취>는 메타서사로 태수의 우수성을 강조한다. 새에서 인간, 인간에서 태수로 확장되는 방식을 통해 작가의 생각이 표현되는 점에서 표현상의 감탄과 문학의 미가 느껴진다. 이는 고문의 자유로운 문체에서 기인된다. 이와 반대로 변려문인 이백의 <춘>은 문체상의 자유로움이 결여된 탓에 구도로서의 감탄을 유발하기 어렵다.

 
 두 번째 지표는 음악성이다. 음악성은 문학에 사용되는 대구법, 휴지 등에 따라 드러난다. 그중 대표적인 대구법은 규칙적인 단어 배열과 평측을 통해 음의 높낮이의 변화를 유도하여 음악성을 형성한다. <춘>은 변려문의 특징인 4•6자를 거의 대부분의 구절에 사용하고 대구를 통해 반복적으로 리듬감을 드러낸 반면, <취>는 전반적으로 野芳发而幽香,佳木秀而繁阴와 같이 부분적 대구법을 사용한다. 즉, 대구법을 전체적으로 사용한 <춘>이 부분적 사용의 <취>에 비해 더 강한 음악성을 띤다.


 세 번째 지표인 이미지는 작가의 사상이나 정서가 언어를 통해 독자의 인식 속에서 감각화되는 것이다. 작가가 표현하려는 이미지가 독자에게 동일하게 전달될 때 문학의 아름다움에 이르게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미지를  구체적이고 정확한 표현으로 나타내야 한다. <취>에서는 &日出、雲歸&와 같이, 구체적 표현을 통해 작가가 의도한 이미지가 독자의 인식 속에서 직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춘>은 &天之者~,光陰者~&와 같은 추상적인 표현으로  여러 단계의 사고과정을 거쳐야 비로소 결론에 이른다. 때문에 독자는 작가가 의도한 이미지를 그리기 어렵다. 


 평가하자면 구도•이미지적 측면에서는 <취>의 문학의 미가 두드러지고 음악성 측면에서는 <춘>이 문학의 미가 두드러진다. 위의 비교에서 <취>의  문학의 미가 두드러지는 이유는 고문의 문체상의 자유로움에서 기인한다. 변려문이 정해진 형태로 내용을 전달해야 하는 제약이 있다면 고문은 자유로운 특성 덕분에 구도적 자유를 통한 표현의 다양성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독자들은 작가가 의도한 바와 더 유사한 이미지를 형상화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자유로운 문체를 취하는 고문을 지지한다. 


 앞서 문학의 미적 관점에서 변려문과 고문을 분석해보았다. 문학의 미는 작가의 생각이나 정서가 독자의 마음을 움직이는 感动이라는 것이다. 이를 세 가지 지표로 하여 음악성이 뛰어난 변려문과, 구도가 유기적이고 이미지 형상화가 뚜렷한 고문으로 결론지었다. 이러한 변려문과 고문은 중국 고대산문의 두 가지 큰 갈래이며 이것이 중국 고대산문의 정수를 이룬다. 특히 중국 고대산문은 당시 사회적 특성에 따라 독특한 미적 가치를 가진다. 당시 글쓰기를 향유하던 작가•독자층은 대부분 관료였기 때문에 정치•사회적 사상과 의도가 글에 투영되는 것이 자연스러웠다. 글을 통해 작가의 의견을 피력하고 독자를 설득함으로써 그들의 생각을 움직이는 것, 이것이 바로 理动이다. 즉, 중국 고대산문의 미는 마음을 움직이는 感动과 당시 사회적 현실에 기인하여 그들의 사상과 의도를 담아 사람들의 생각을 움직이는 理动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728x90